[카테고리:] 리눅스(Linux)
-
[Linux] 리눅스란 무엇인가?
리눅스는 IT 관련 업무를 한다면 계속해서 마주칠 수 있는 운영체제입니다. 이 OS는 오픈 소스의 잠재력과 유연성으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도구입니다. 리눅스의 주요 특징과 장단점, 그리고 주요 디렉터리 구조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 특징 1. 오픈 소스 운영체제 리눅스는 오픈 소스로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소스 코드를 수정할 수도 있습니다. 개발자들이 OS를 지속적으로…
-
[Linux] 리눅스 su 명령어 사용법 정리
리눅스 환경에서 작업을 하다보면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해야 하는 상황이 종종 있습니다. 이럴때 리눅스 su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는데, su 명령어가 무엇인지와 실제로 어떻게 사용되는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리눅스 su 명령어 su는 substitute usert, switch user의 약자로, 현재 로그인 되어있는 세션의 사용자 계정을 다른 계정으로 전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는 루트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할 때 이용하며, 이를…
-
[Linux] 리눅스 ps 명령어 사용법 정리
리눅스 ps 명령어 사용법 정리입니다. 리눅스 OS로 프로세스를 관리한다면, 필수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명령어입니다. ‘ps’ 명령어와 옵션, 그리고 활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리눅스 ps 명령어 ‘ps’는 Process Status의 약자로, 현재 시스템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들의 상태를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시스템 모니터링, 네트워크 문제 해결, 성능 최적화 등에서 기본으로 사용됩니다. ps 사용법 ps : 현재 터미널(쉘)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 정보를 출력합니다.…
-
[Linux] 리눅스 traceroute 사용법 – 네트워크 진단 도구
리눅스 네트워크 진단 도구인 traceroute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 traceroute 명령어란? 네트워크 진단 도구 traceroute는 네트워크에서 패킷이 목적지에 도달하기까지 거치는 경로를 추적함과 동시에, 각 경유지에서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네트워크 진단 도구입니다. traceroute 사용법 traceroute allhoneytip.com: 추적을 원하는 도메인 이름이나 IP 주소를 적습니다. traceroute -q 5 allhoneytip.com: q 옵션으로 홉 수를 조절하여 전송할 패킷의 수를 정합니다.…
-
[Linux] 리눅스 export 명령어 개념 정리
리눅스 export 명령어 개념 정리를 다뤄보겠습니다. 리눅스 export 명령어란? export 명령어는 셸 환경 변수의 값을 설정하고, 현재 셸과 모든 자식 프로세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즉, 프로그램이나 스크립트가 특정 환경변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전달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export 명령어 기본 사용법 export MY_VAR=hello– MY_VAR 라는 변수에 hello라는 값을 지정합니다. export PATH=/usr/local/bin:$PATH– 기존에 존재하는 PATH라는 변수에…
-